반응형
블록체인 기반 게임은 플레이하면서 암호화폐나 NFT 등을 얻을 수 있는 게임들을 말해. 이른바 "Play-to-Earn (P2E)" 게임이 대표적이고, 요즘엔 "Play-and-Earn" 또는 "Play-to-Own" 같은 개념도 나와 있어. 아래는 대표적인 블록체인 게임들입니다.
1. Axie Infinity(액시 인피니티)

Axie Infinity (액시 인피니티) 는 블록체인 게임 붐을 처음 이끈 대표적인 P2E(Play-to-Earn) 게임이야. 베트남 게임 개발사 Sky Mavis가 만들었고, 한때 필리핀 등지에서는 이 게임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정도로 인기 있었어.
기본 개념
- Axie라는 귀여운 몬스터들을 수집하고, 배틀, 번식, 트레이딩하는 게임이야.
- 이 Axie들은 NFT로 되어 있어서, 실제로 유저가 소유하고 자유롭게 거래 가능해.
- 게임은 턴제 전략 게임 형식으로, 3마리의 Axie로 팀을 구성해 전투해.
게임 내 토큰
- SLP (Smooth Love Potion)
- 배틀을 통해 획득 가능
- Axie를 번식하는 데 사용
- 예전에는 SLP를 팔아 수익을 낼 수 있었지만, 현재는 수익 구조가 많이 변함
- AXS (Axie Infinity Shards)
- 거버넌스 토큰 (게임 생태계 결정에 참여 가능)
- 스테이킹, 보상, 번식 등에 사용됨
Ronin 체인
- 액시 인피니티는 트랜잭션 수수료 절감을 위해 자체 사이드체인인 Ronin을 사용해.
- Ronin Wallet이 있어야 게임 자산을 관리할 수 있어.
게임 모드
- Adventure 모드: PvE (현재는 거의 사용 안됨)
- Arena 모드: PvP 전투로, 순위에 따라 보상 획득
- Breeding (번식): 두 마리 Axie를 조합해 새로운 Axie를 생성
- Land (토지 시스템): 메타버스처럼 자기 땅을 개발하고 게임 내 활동을 할 수 있음 (아직 베타 수준)
현황
- 2021~2022년에는 엄청난 인기를 끌었지만, 토큰 가격 하락과 수익성 감소로 인해 유저 수는 줄었어.
- 현재는 Axie Infinity: Origins라는 새 버전이 나와 있고, 더 전략적이고 접근성 높은 구조로 바뀌는 중이야.
2. Gods Unchained

Gods Unchained는 카드 배틀 게임 좋아한다면 꽤 흥미로운 블록체인 게임이야. 전통 TCG(Trading Card Game) 스타일에 블록체인을 더한 게임이고, Hearthstone이나 매직 더 개더링 같은 게임과 비슷한 느낌이야. (참고로 개발 리드가 매직 더 개더링 출신이야!)
✅ 기본 개요
- 장르: 디지털 TCG (트레이딩 카드 게임)
- 플랫폼: PC / Mac (웹으로도 가능)
- 블록체인: Immutable X (이더리움 기반 L2 체인)
- 개발사: Immutable
🃏 게임 방식
- 유저는 신(God)을 선택하고, 그에 맞는 카드 덱으로 전투를 벌여.
→ 신마다 고유한 능력과 전략이 있음 (예: Nature, War, Death, Magic 등) - 카드에는 마나 코스트, 공격력, 체력, 특수 효과 등이 있음.
매 턴마다 마나가 늘어나고, 전략적으로 카드를 내며 싸움. - 전통적인 TCG처럼 덱 빌딩이 핵심이고, 카드 콤보 구성이나 메타 이해도가 중요해.
💰 Play-to-Earn 요소
- 게임을 하다 보면 카드를 NFT로 민팅할 수 있는 포인트를 모아.
- NFT로 만든 카드는 거래 가능, 실제 돈처럼 유통돼.
- $GODS 토큰이 있고, 스테이킹이나 보상에도 쓰여.
📦 무과금으로 시작 가능
- 초보자용 덱 제공 → 바로 플레이 가능
- 이긴 만큼 보상을 받고,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카드 민팅 포인트 획득
- 민팅된 카드 = 진짜 본인 소유 자산 (Immutable X 마켓에서 거래 가능)
⚙️ 토큰 및 생태계
- $GODS 토큰
- 생태계 운영 및 보상에 사용
- 스테이킹 기능 있음
- 카드 민팅 시 GAS 대용으로도 사용됨
- Immutable X
- 가스비 무료, 즉 수수료 없이 카드 거래 가능
- 빠른 속도, 사용자 친화적
📊 장점 vs 단점
장점 단점
무과금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음 | 경쟁에서 이기려면 메타 카드 확보가 중요 |
NFT 카드 실소유 및 거래 가능 | 일부 카드 가격이 과도하게 비쌀 수 있음 |
카드 퀄리티 & 밸런스가 꽤 좋음 | 유저 수에 따라 매칭이 오래 걸릴 수 있음 |
3. The Sandbox

The Sandbox는 블록체인 기반의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이야. 쉽게 말하면, 마인크래프트처럼 가상 공간에서 자신만의 월드를 만들고, 그 안에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소유하며, 수익화까지 할 수 있는 게임이라고 보면 돼.
🧱 기본 개요
- 장르: 메타버스 / 샌드박스 / UGC (User Generated Content)
- 플랫폼: 웹 기반 (PC, Mac / 모바일은 개발 중)
- 블록체인: 이더리움 기반 + Polygon 확장
- 토큰: $SAND (기본 화폐), LAND (NFT 땅), ASSET (NFT 콘텐츠)
🌍 주요 요소 설명
1. LAND (랜드)
- Sandbox 메타버스의 가상 토지, 총 166,464 개 한정
- LAND는 NFT로 발행되어 소유, 판매, 임대 가능
- 기업, 아티스트, 개인 등 누구나 구입 가능
- 유명 브랜드도 LAND를 소유 중 (Snoop Dogg, Atari, Adidas 등)
2. SAND 토큰
- The Sandbox의 기본 유틸리티 토큰 (ERC-20)
- LAND 구매, 콘텐츠 거래, 게임 플레이 등에 사용
- 스테이킹, DAO 투표, 보상 시스템 등에도 활용됨
3. ASSET (NFT 콘텐츠)
- 유저가 만든 아이템, 캐릭터, 건축물 등을 말함
- VoxEdit라는 툴을 사용해 직접 제작 가능
- NFT로 발행해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 가능
4. Game Maker
- 코딩 지식 없이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 수 있는 툴
- 액션, 퍼즐, RPG, 파티 게임 등 다양한 장르 구현 가능
- 제작한 게임은 LAND 위에 올려서 공개하거나 수익화 가능
💰 수익 구조
- LAND를 사서 가치 상승 시 매도 (부동산처럼)
- 직접 만든 게임이나 콘텐츠를 NFT로 판매
- 다른 유저의 게임을 즐기면서 SAND 보상 획득
- LAND 임대 → 다른 유저가 빌려서 콘텐츠 게시
🧠 The Sandbox의 장점
장점 설명
진입장벽 낮음 | 코딩 없이 게임 제작 가능 |
수익화 구조 명확 | LAND, 아이템, 게임 모두 수익화 가능 |
대기업 파트너십 풍부 | Snoop Dogg, Warner Music, Ubisoft 등 |
유저 주도 생태계 | DAO 형태로 운영 예정 (토큰 보유자 투표 등) |
🤔 현재 상황 & 전망
- 정식 버전은 아직 “알파 시즌” 형태로 운영 중
- 매 시즌마다 미니게임과 보상 이벤트를 통해 유저 유입 중
- 메타버스 붐과 함께 가격 상승했지만, 이후 다소 조정
- 유저 유입과 실제 콘텐츠 퀄리티에 따라 장기 성패가 갈릴 전망
반응형